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현재 중국 경제 발전이 일부 어려움과 문제를 맞이했다”고 밝혔다. 미국이 주도하는 서방의 대(對)중국 봉쇄, 국내 부동산 침체와 지방정부 부채 누적, 내수 부족 속에 중국 최고지도자가 이례적으로 경제 위기를 인정하며 해결책 제시를 시사한 것이다.
31일 당 기관지 인민일보에 따르면, 시진핑은 7월 26일 베이징 중난하이(中南海·중국 최고 지도부 집무처)에서 열린 당외 인사 좌담회에서 “올해 상반기 복잡한 국내외 형세 속에서 압박을 견디며 적극적으로 대처했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좌담회는 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3중전회) 직후 중국의 경제 상황을 돌아보고, 하반기 경제 정책에 대한 당외 인사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는 리창 총리를 비롯해 왕후닝(중국 권력 서열 4위)·차이치(5위)·딩쉐상(6위) 상무위원 등 실력자들이 함께했다.
시진핑은 이날 좌담회에서 경제 어려움에 대해 “발전과 전환 과정에서 일어나는 문제”라면서 “노력을 통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발전에 대한 자신감을 견고히 하고, 전략적 의지를 유지하며, 문제와 도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실질적인 고품질 발전 성과를 통해 ‘중국 경제 광명(光明)론’을 노래해야 한다”고 했다.
시진핑은 지난 21일 3중전회 결정문의 배경을 소개하면서도 “앞으로 ‘블랙 스완’과 ‘회색 코뿔소’ 사건이 수시로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블랙 스완(검은 백조)은 가능성이 매우 낮지만 한 번 발생하면 엄청난 충격을 가져올 수 있는 위험을, 회색 코뿔소는 예상 가능하지만 간과하기 쉬운 위험을 뜻한다.
그러나 중국이 국가 주도 경제 시스템을 수정하고 대대적인 개혁에 나설 가능성은 낮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 유명 논객인 후시진 전 환구시보 편집인은 소셜미디어 웨이보에 “3중전회 결정문에서 ‘공유제가 주체’라는 표현이 사라졌는데, 이는 공유제(국유 경제)와 비공유제(민영·외자 경제)가 진정한 평등을 이룬 것”(7월 22일)이라고 썼다가 일주일 뒤 계정이 차단됐다. 인민일보는 하루 뒤인 지난 30일 후시진의 주장을 반박하는 논조의 기사를 1면에 싣고 “공유제를 주체로 하는 사회주의의 우월성은 강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화권 언론들은 최근 중국에서 정권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는 시위가 일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30일 중국 반체제 인사의 X(옛 트위터) 계정에는 후난성 러우디시의 한 육교에 시진핑을 직접적으로 공격하는 문구가 적힌 현수막이 걸린 영상이 올라왔다. 촬영 시점은 알려지지 않았다.
-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75739
🌎국제퀴즈 풀고 선물도 받으세요! ☞ https://www.chosun.com/members-event/?mec=n_qu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