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 극복을 위한 전국 자치단체들의 노력이 눈물겹다. 지자체가 나서 출산 지원 성금을 모으거나 직접 청춘 남녀의 만남도 주선한다.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주 4일 출근제’도 등장했다.

김장호 구미시장(오른쪽)이 지난 9일 저출생 극복을 위한 성금 500만 원을 기부한 뒤 전우현 경상북도사회복지공동모금회장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구미시

경북도는 완전 돌봄과 안심 주거 등 저출생 극복 사업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달 20일부터 ‘1만원 이상 성금 기부 운동’을 벌이고 있다. 개인을 비롯해 각급 단체와 기업, 해외 교포까지 기부 운동에 동참해 한 달여 만에 14억5000만원이 모였다. 이철우 경북지사와 김장호 구미시장도 각각 1000만원과 500만원을 기부했다.

경북도는 청춘 남녀들이 어울릴 수 있는 자리도 마련한다. 다음 달부터 도내 미혼 남녀들이 캠핑과 요리 등 취미 활동을 하며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는 ’청춘 동아리’를 운영한다. 오는 7월부터는 인기 TV 프로그램 ‘나는 솔로’를 본떠 ‘솔로 마을’을 운영할 계획이다. 미혼 남녀들이 한 공간에 머물면서 서로 마음에 드는 상대를 찾아가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커플이 되면 선물로 5박 6일간 무료 여행을 제공한다.

충남도는 오는 7월부터 0~2세 자녀를 둔 도청과 도청 산하 공공 기관 직원들을 대상으로 ‘주 4일 출근제’를 도입한다. 일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도록 하루를 의무적으로 재택근무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 육아를 성과로 인정해 육아휴직자에겐 A 등급 이상의 성과 등급을 부여하고, 근무 성적 평정에도 가산점을 주기로 했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결혼 전 임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없애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프랑스식 ‘등록 동거혼’ 제도를 도입해 결혼 부담 없이 아이를 갖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서울시도 올 상반기 8세 이하 자녀를 둔 직원들이 일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는 ‘일·육아 동행 근무제’를 시행한다. 자녀 연령별로 △모성보호기(교통 혼잡 회피형) △유아기(등・하원 지원형) △초등 저학년(교육 지원형) 등 근무 유형을 나눠, 직원들이 스스로 근무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강원 화천군은 집 없는 신혼부부에게 임차 보증금과 월세를 지원해 주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원칙적으로 화천에 이사 오면 주택 임차료를 군(郡)이 책임지자는 것이다. 둘째, 셋째를 낳을 경우 지원 기간을 늘려 사실상 주택 비용 부담을 확 줄여줄 계획이다. 화천군은 또 6개월 이상 화천에 산 무주택자가 연면적 100㎡ 이하 단독주택이나 전용면적 85㎡ 이하 공동주택을 살 때 금융기관 대출 이자를 최대 50%(융자금 추천 한도 2억원 이내)까지 지원해 주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