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도쿄올림픽 홈페이지 지도에 독도가 일본 영토처럼 표시된 것과 관련해 1일 소마 히로히사(相馬弘尙) 주한 일본 대사관 총괄공사를 공개 초치해 항의했다. 외교부는 “일본 측의 부당한 독도 영유권 주장에 대해 강력히 항의하고, 관련 자료의 즉각적인 시정을 요구했다”며 “앞으로도 도쿄올림픽을 앞두고 상황을 예의 주시하면서 엄중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외교부는 이날 브리핑을 통해 일본 공사 초치 계획을 이례적으로 사전에 공개했다. 외교 관례상 외교관 초치는 언론에 비공식적으로 알리거나 아예 공개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날 공개 초치 예고는 다시 한·일 관계가 얼어붙고 있음을 보여주는 방증이라는 관측이다.

일본은 앞서 도쿄올림픽 홈페이지 내 성화 봉송 코스를 소개하는 전국 지도에서 시마네현 위쪽, 독도 위치에 해당하는 곳에 작은 점을 찍어 독도가 일본 땅인 것처럼 표시했다. 우리 정부가 항의하고 여러 차례 시정을 요구했지만, 일본 정부는 수용 불가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또 모테기 도시미쓰(茂木敏充) 일본 외무상은 지난달 31일 참의원 결산위원회에서 한·일 위안부 합의 등을 둘러싼 문재인 정부의 대응과 관련 “한국이 항상 (문제 해결의) 골대를 움직이는 상황”이라며 악화된 양국 관계의 책임이 한국에 있음을 강조했다. 위안부는 6·25전쟁 당시의 ‘위안대’나 마찬가지라는 자민당 의원의 주장에 공감을 표하기도 했다.

한·일이 다시 대립하면서 오는 11~13일 영국에서 열리는 주요 7국(G7) 정상회의 계기에 추진되던 한·일, 한·미·일 정상회의 전망도 불투명해졌다. 일본 언론들은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가 1년도 남지 않았기 때문에 한·일 문제 진전은 더 이상 어렵고 만날 분위기도 아니라는 시각이 일본 정권 내에 확산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