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용량을 줄여 가격 인상 효과를 누리는 ‘슈링크플레이션’에 대해 감시를 강화하기로 한 가운데, 소비자단체들이 “기업들의 비행을 감시하는 데 그칠 것이 아니라, 기업들이 소비자에게 제품 용량을 변경했다는 내용을 정확히 알리도록 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19일 정지연 한국소비자연맹 사무총장은 본지 통화에서 “기획재정부 등 정부 유관 부처에 제품 용량 변경 시 기업이 소비자에게 관련 내용을 고지하도록 제도화하는 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건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소비자단체들이 물가에 대한 감시는 지속적으로 기울여 왔지만, 감시를 강화하는 것만으로는 슈링크플레이션과 같은 기업들의 편법적 가격 인상을 막는 데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다. 슈링크플레이션은 제품 가격은 그대로 두거나 올리면서 제품 용량은 줄이는 식의 꼼수 인상을 뜻한다.
김한기 소비자주권시민회의 정책실장은 “기업들 다그치며 물가를 잡을 게 아니라, 가격 인상 요인과 대응 방안부터 정확히 파악해 기업들의 어려움을 해소하면서 소비자들에게 가격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17일 비상경제차관회의 겸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이달 말까지 한국소비자원을 중심으로 주요 생활 필수 품목들에 대한 슈링크플레이션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신고 센터를 신설해 관련 제보를 받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외국 정부들은 기업들이 용량 변화 등도 투명하게 공개하는 걸 강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실제 브라질은 지난해부터 제품 용량 변경 시 6개월간 해당 내용을 의무적으로 고지하도록 하고 있고, 프랑스와 독일도 비슷한 제도를 도입하려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