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광(後光).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뒤에 있는 빛'이라는 뜻이야. 후광은 어떤 사물을 더욱 빛나게 하거나 두드러지게 하는 주변 환경, 상황들을 비유적으로 말할 때 쓰여. 예를 들어, '그는 아버지의 후광으로 성공했다'고 할 때 후광이 바로 그런 의미지.

후광을 뜻하는 영어 단어는 헤일로(halo)야. 심리학에서 나온 말이지. '헤일로 효과(Halo effect)'는 후광 효과라고도 불러. 무언가를 평가할 때, 그 대상의 한 가지 특징이 다른 특징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해. 쉽게 말해 어떤 사람의 외모가 괜찮을 경우, 그 사람의 성격까지도 좋을 거라고 판단하는 거야. 사실 외모가 잘생겼다고 성격까지 좋은 건 아닌 데 말이야. 물론 얼굴도 예쁘고 성격도 좋은 사람도 있지.

헤일로 효과는 때로 불공평한 결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어. 일부분만 갖고 사람을 평가하니까 말이야.

우리가 헤일로 효과의 단점에 빠지지 않으려면 선입관을 갖지 말아야 해. 사람을 이유 없이 미워할 필요도 없지만, 무조건 좋게 보는 것도 옳은 태도는 아니야. 항상 객관적이고 공정한 판단을 내리려는 자세를 갖는 게 중요해.

헤일로 효과를 잘 이용하면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예를 들어, 호의적인 이미지로 대중에게 사랑받는 기업이 있어. 그 기업이 상품 하나를 출시 했어. 특별히 제품을 홍보하지 않아도 소비자들은 '이 회사의 상품은 믿을만 해'라고 판단할 거야. 이미 신뢰를 쌓은 기업이기 때문에 해당 기업이 내놓는 상품까지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거지. 자연스럽게 상품의 매출은 쑥쑥 올라가. 이럴 경우 헤일로 효과는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어.

[어린이조선일보] [아하, 이런 법칙이!] 얼굴이 예쁘니까 마음도 예쁠 거야 대상 평가할 때, 하나의 특징이 다른 특징에까지 영향

세상을 보는 눈

우리가 보는 드라마, 영화 속에는 수많은 배우가 나와서 연기를 해. 배우들은 자신이 맡은 역할에 늘 최선을 다하지. 악역들이 본인의 역할을 실감나게 소화하다보니 종종 오해를 받는 경우도 있어. 사람들이 이 배우들의 평소 성격도 나쁠 거라고 판단해 안 좋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거지.
사람들은 좋은 이미지로 나온 배우에 대해서는 실제로도 착할 거라고 생각해. 모든 면에서 괜찮은 사람일 거라고 단정짓기도 하지. 그러다가 그 배우가 불미스러운 사건에 연루되면 사람들은 몹시 실망해. 우리가 조심해야 할 부분이야. 사람을 한가지 면만 보고 판단하는 일은 위험할 수 있다는 걸 늘 명심해.

복작복작 세상을 바꾸는 법칙(박동석 글·송진욱 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