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고학년·중등 이상 소행성 충돌로 달에 지름 320㎞ 구멍 남겨
이후 부스러기로 나뉘며 시속 4600㎞로 달 긁어
美 달과 행성연구소(Lunar and Planetary Institute)/38억 년 전, 달 남쪽에 슈뢰딩거 충돌구를 남긴 소행성이 충돌하는 모습을 표현한 그래픽이다. 충돌한 소행성은 부스러기로 나뉘어 최대 시속 4600㎞로 달의 땅을 긁었다.
美 달과 행성연구소(Lunar and Planetary Institute)/38억 년 전, 달 남쪽에 슈뢰딩거 충돌구를 남긴 소행성이 충돌하는 모습을 표현한 그래픽이다. 충돌한 소행성은 부스러기로 나뉘어 최대 시속 4600㎞로 달의 땅을 긁었다.
미 항공우주국(NASA)/달에 있는 두 거대한 골짜기인 두 골짜기 모두 지구에서 가장 크고 깊은 골짜기인 그랜드 캐니언보다 크고 깊다.

‘그랜드 캐니언’은 지구에서 가장 길고 깊은 골짜기인데요. 길이만 총 446㎞이고, 깊이는 1.9㎞ 정도예요. 무려 600만 년 동안 하늘에서 떨어진 빗물이 땅을 갈라지게 해서 생겼죠. 재미난 점은 달에도 이보다 깊은 골짜기가 둘이나 있는데, 겨우 10분 만에 생겨났다는 거예요. 달에는 비가 내리지 않는데, 어떻게 그랜드 캐니언보다 깊은 골짜기가 10분 만에 뚝딱 생겼을까요?

미국 대학우주연구협회는 2월 4일, 달 남극에서 찍은 슈뢰딩거 골짜기와 플랑크 골짜기를 소개했어요. 두 골짜기 모두 길이만 270㎞ 이상이고요. 깊이는 최고 3.5㎞로 그랜드 캐니언보다 2배 넘게 깊어요. 이 두 골짜기는 같은 날, 단 10분 만에 만들어졌어요. 연구팀은 두 골짜기가 가리키는 방향에 있는 ‘슈뢰딩거 충돌구’를 분석했어요. 슈뢰딩거 충돌구는 지름 320㎞로 움푹 파인 땅을 뜻해요. 약 38억 년 전, 소행성이 달에 충돌해 남긴 구멍이죠. 연구팀은 소행성이 슈뢰딩거 충돌구에 부딪히고 나서 어떻게 됐을지 컴퓨터로 분석했어요. 그 결과, 소행성이 여러 조각으로 쪼개지면서 부스러기가 수억 개 생겼답니다. 이때 이 부스러기가 달의 땅을 긁고 지나간 거예요. 소행성이 달에 부딪히면서 발생한 폭발의 힘은 지구에 있는 핵무기를 다 터트린 것보다 약 130배 컸어요. 이에 소행성 부스러기가 날아가는 속도는 최고 시속 4600㎞나 됐죠. 권총 총알이 날아가는 속도가 시속 2200㎞ 정도니 총알의 두 배가 넘는 속도로 달의 땅을 긁은 겁니다.

게티이미지/미국 애리조나주(州)와 네바다주에 걸쳐서 있는 '그랜드 캐니언'이다. 총 길이 446㎞에 평균 깊이 1.9㎞로 지구에서 가장 거대한 골짜기다.

미 항공우주국(NASA)/달 표면이 조금씩 줄어들어 만들어낸 단층. 단층이란 땅이 움직이다가 어긋나면서 갈라진 것을 말한다.
과학 3학년 1학기 5-2단원
지구와 달의 모습
달에서도 지구처럼 지진 일어난대요!
달은 지구와 달리 마그마가 이미 오래전에 식어버렸어요. 게다가 지구처럼 판으로 이뤄져 있지 않다 보니 땅이 움직일 일도 없죠. 하지만 달에서도 끊임없이 지진은 일어난답니다. 1969년 NASA의 우주 비행사들은 달에 지진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했어요. 이때 지진이 무려 28번 관측됐어요. 이 지진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죠. 달에서 일어나는 지진은 ‘월진(月震)‘이라고 해요. 달에는 공기가 없어 땅이 태양빛을 그대로 받죠. 그래서 낮에는 달 표면 온도가 120℃까지 올라가요. 밤에는 영하 133℃까지 떨어지고요. 이렇게 큰 온도 차 때문에 달 표면이 조금씩 늘어났다가 줄어들기를 반복해요. 이 과정에서 달 표면이 흔들리거나 갈라지는 지진이 일어나는 겁니다.

  1. 달에 있는 두 골짜기는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나요? 지구에서 가장 큰 골짜기인 ‘그랜드캐니언’과 비교해 적어보세요.
  2. 달에서 지진이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