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 연구팀이 개발한 적외선 흡수 장치. 이 장치에는 적외선을 머금는 헬륨, 아르곤, 질소 등 기체가 담겼다. 장치는 적외선을 흡수해 밤에도 태양광에서 전기를 만들수 있다.

열두 살 A양이 살고 있는 아파트에는 집마다 태양광이 달려있어요. 햇빛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모아 전기를 만들어 낼 수 있죠. 머지않아 어두컴컴한 밤에도 태양광에서 전기를 만들 수 있는 날이 올 것 같아요. 9월 29일(현지 시각),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 연구팀은 밤에도 태양에서 온 에너지를 모아 전기를 만드는 태양광을 개발했거든요.

이제껏 태양광은 햇빛에서 나오는 가시광선(可視光線)을 모아 전기를 만드는 방식이었어요. 가시광선은 사람이 눈으로 볼 수 있는 빛이에요. 주로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을 띠죠. 연구팀은 가시광선이 아닌 햇빛에서 나오는 적외선(赤外線)에 주목했어요. 적외선은 가시광선과 달리 사람 눈으로 볼 수 없어요. 보통 낮 동안에 태양열을 받은 모든 건물이나 물체가 밤이 되면 적외선을 뿜어내거든요. 연구팀은 이 적외선을 모으면 전기를 더 많이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생각한 거예요.

연구팀은 적외선을 내뿜지 않고 흡수하는 금속 장치를 만들었어요. 즉, 낮에는 가시광선으로 전기를 만들고 밤에는 적외선으로 전기를 만들어 24시간 내내 태양광이 전기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거죠. 헬륨, 아르곤, 질소 등 기체를 장치에 넣었어요. 기체는 적외선을 머금는 특징을 가지고 있거든요. 그리고 태양광에 장치를 달아 한 달 동안 햇빛을 보게 했어요. 태양광이 만들어 낸 전기로 작은 스피커를 작동시켰죠. 그 결과, 해가 뜬 낮에는 가시광선으로 전기를 만들어 스피커에서 노래가 끊임없이 나왔어요. 해가 진 밤에는 적외선으로 전기를 만들어 새벽에도 노래가 끊기지 않고 이어졌죠. 적외선은 가시광선의 10분의 1에 달하는 전기를 만들어 낼 수 있었답니다.

 용어풀이 

가시광선(可視光線): 햇빛 가운데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는 빛으로 파장이 380~700㎚(나노미터) 정도에 달한다.


적외선(赤外線): 햇빛 가운데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없는 빛. 주로 붉은색을 띠며 파장이 700㎚ 이상으로 가시광선보다 길다.


자외선(紫外線): 햇빛 가운데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없는 빛. 적외선보다 파장이 짧고 에너지가 커서 사람 피부에 화상, 그을림을 일으킬 수 있다.


파장(波長): 빛이 특정 점까지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 빨간색처럼 무지개 계열 앞쪽에 자리한 색일수록 파장이 길고, 뒤에 자리한 색일수록 파장이 짧고 에너지가 강하다.
질문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 연구팀이 개발한 태양광은 기존 태양광과 어떤 차이가 있나요?
질문가시광선과 적외선이 무엇이며, 각각 얼마나 많은 전기를 만들 수 있는지 기사에서 찾아 적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