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성과 지구는 기울기가 달라, 지구에서 봤을 때 매년 고리가 다른 모양으로 포착된다. 내년 3월 23일, 토성의 고리는 지구 각도에서 가느다란 실 형태로 보여 고리가 사라진 것처럼 보인다.

우주를 떠도는 태양계(太陽系·Solar system) 행성 중에서 유독 생김새가 다른 행성이 하나 있어요. 바로 '토성(土星·Saturn)'입니다. 토성은 반지처럼 생긴 고리를 끼고 있기 때문인데요. 재미난 점은 토성에 있는 이 고리가 6개월 뒤에 잠깐 사라질 수 있다는 거예요. 4일(현지 시각),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내년 3월 23일에 토성이 고리가 없어진 채로 지구처럼 둥근 모양만 보일 거라고 밝혔거든요.

토성 고리가 잠깐 사라지는 건 토성이 지구의 바로 옆을 지나가기 때문이에요. 토성이 지구의 기울기와 잠깐 맞아떨어지는 건데요. 지구의 자전(自轉·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스스로 회전하는 것)축은 23.5° 기울어져 있어요. 지구는 이 각도로 기울어진 채로 스스로 회전하면서 태양의 주위를 빙글빙글 돌죠. 토성의 자전축은 26.73° 기울어져 있답니다. 내년 3월 23일은 바로 태양을 돌던 지구와 토성이 우연히 딱 일렬로 서는 날인 거죠. 이 주기는 15년에 1번 정도 찾아온답니다. 이때 토성의 고리는 지구 각도에서 봤을 때 아주 가느다란 실 모양을 띠게 돼요. 그러다 보니, 우리 눈에는 고리가 사라진 것처럼 보인답니다. 토성 고리는 45억 년 전 탄생한 토성에 비해 만들어진 지 4억 년밖에 안 됐어요. 토성 고리의 길이는 무려 6만 5700㎞인데요. 이 고리는 매년 300g 미만의 먼지가 쌓여 점점 커진답니다.

→ 지구에서 토성 고리가 잠깐 사라지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를 기사에서 찾아 적어 보세요.
 용어풀이 

태양계(太陽系·Solar system): 태양의 영향이 미치는 공간과 그 공간에 있는 천체를 통틀어 이르는 말. 태양계에는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까지 행성 8개가 있다.

토성(土星·Saturn): 태양계에서 가장 선명한 고리를 가진 행성. 목성, 천왕성, 해왕성도 고리를 가지고 있지만, 지구에서는 토성만큼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