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장고가 없었던 옛날, 우리 조상은 음식과 곡물을 보관하는 곳에 숯을 넣어 두면 음식물이 잘 상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어요. 조상이 사용했던 숯은 생활 여러 곳에서 다양한 능력을 발휘했는데, 지금까지 알려진 숯의 효과만도 엄청나게 많죠. 과연 숯에는 어떤 놀라운 과학이 숨겨져 있을까요?

숯가마 안에 참나무를 빼곡히 세우고 불을 때어 숯을 만드는 거예요.

'숯'은 숯가마에서 구워 낸 나무가 재로 변하기 전의 검은색 탄소 덩어리인데, '신선한 힘'이라는 뜻의 순 우리말이에요. 우리나라에서는 약 2600년 전부터 숯을 사용했다고 추측한답니다.

숯의 우수성을 알기 위해 경상남도 합천에 위치한 해인사로 떠나 볼까요?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해인사 장경판전에는 국보 제32호인 팔만대장경이 보관되어 있어요. 그런데 이 대장경은 나무로 만든 목판이지만,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이후 800년에 가까운 세월이 지난 지금까지도 신비로울 만큼 잘 보존되고 있답니다.

숯의 구멍 속에 사는 미생물들이 장의 숙성을 도와주지요.

이처럼 팔만대장경이 잘 보존될 수 있었던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어요. 먼저 목판으로 쓴 나무는 소금물에 삶은 후 말리는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한 다음 다시 그 나무판에 옻칠했어요. 또한 팔만대장경을 보관하는 데에는 장경판전의 과학적인 건축과 황토도 큰 역할을 했지만 장경판전 바닥에 묻힌 숯의 역할도 컸답니다.

우리 조상은 왜 숯을 장경판전 바닥에 깔았을까요? 목판을 보존하기 위해 꼭 필요한 조건은 알맞은 습도랍니다. 장경판전 안의 습도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목판이 썩거나 갈라질 위험이 있어요. 이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숯이라는 것을 조상은 알았던 거지요.

[어린이조선일보] [앗! 놀라운 전통과학] ―숯

조사에 의하면 해인사 부근의 습도는 주변 지역보다 6~10% 정도 높음에도 장경판전 안의 평균 습도는 목판을 보관하기에 가장 알맞은 조건을 유지한다고 해요. 높은 온도에서 구운 숯은 수분이 거의 없지만, 숯에 나 있는 수많은 구멍이 습도를 조절하는 비밀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세한 구멍이 많은 스펀지가 물을 잘 흡수하듯이, 숯은 공기 중에 수분이 많으면 삼키고 적으면 다시 내뱉어 습도를 자연스럽게 조절해 주는 것이죠.

숯은 언뜻 보면 나무가 검게 탄 정도로만 보이지만, 전자현미경으로 확대해 보면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아주 작은 구멍들이 엄청나게 많은 것을 관찰할 수 있어요. 이 작은 구멍들은 공기를 쉽게 통과시키지만, 오염 물질을 차단하기 때문에 공기 정화 효과가 매우 뛰어나요.

[어린이조선일보] [앗! 놀라운 전통과학] ―숯

또 조상은 겨우내 띄운 메주로 이른 봄에 장을 담갔는데, 장을 담글 때는 옹기에 숯을 넣어요. '숯은 시커멓고 더러운데 왜 먹는 된장에 넣을까?' 하고 생각할 수도 있지요. 신기하게도 곰팡이같이 덩치가 큰 미생물은 숯의 작은 구멍 속에 살기 어렵지만, 우리에게 유익한 미생물은 숯의 작은 구멍 속에서 살 수 있으며, 이 미생물들이 장을 잘 숙성시키는 역할을 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