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공부를 열심히 한 친구들은 스톡홀름이 뭔지 바로 알 거야. 스톡홀름은 스웨덴의 수도야. 이번에 말할 '스톡홀름 증후군(Stockholm syndrome)'은 이 도시와 연관 있어.

1973년 8월 23~28일 스톡홀름의 한 은행에서 인질극이 벌어졌어. 범인들이 은행 직원들을 엿새 동안 인질로 잡고 있었지. 인질들은 처음에 범인들을 무서워했어. 하지만 시간이 흐르자 호감을 갖기 시작했대. 그 결과 직원들은 구출됐을 때 오히려 경찰들을 미워했어. 심지어 범인들에게 불리한 증언을 하나도 하지 않았다고 해. 이게 바로 스톡홀름 증후군이야.

[어린이조선일보] "인질범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어" 인질로 잡힌 사람, 범인에 호감 느끼고 지지하는 현상

스톡홀름 증후군은 인질로 잡힌 사람이 범인에게 호감을 느끼고, 그를 지지하는 태도를 보이는 현상이야. 이런 현상은 비정상적이야. 극한 상황에서 약자가 된 인질이 강자인 범인에게 어쩔 수 없이 동화되는 거지.

보통 스톡홀름 증후군은 세 단계를 거친다고 알려졌어. 첫 번째는 인질들이 자신들의 목숨을 쥐고 있는 범인들에게 고마워하고, 따뜻함을 느끼는 거야. 즉, 자신들을 죽이지 않는 것에 고마워하는 단계지.

두 번째는 인질들이 위험을 무릅쓰고 자신들을 구출하려는 경찰에게 오히려 안 좋은 감정을 느끼는 거야. 인질들은 구출 과정 중 경찰과 범인이 싸우면서 본인들이 죽을 수도 있겠다고 생각하게 돼. 이 때문에 경찰들에게 좋지 않은 감정을 느끼는 거지.

세 번째는 범인과 인질들이 서로에게 좋은 감정을 가지는 단계야. 인질과 범인은 모두 한 공간에 갇혀 있고, 같은 두려움을 느끼기 때문에 서로에 대한 믿음이 생기지.

세상을 보는 눈
스톡홀름 증후군이 범인들에게 동화되는 인질들의 심리 현상이라면, 이와 반대되는 심리 현상은 '리마 증후군(Lima Syndrome)'이야. 범인들이 인질들에게 정신적으로 동화되는 현상을 말하지.
스톡홀름 증후군과 리마 증후군은 서로 반대되는 증후군이지만 어느 한 쪽이 상대에게 정신적으로 동화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
서로 좋은 영향을 주고받는 일은 행복해. 하지만 나쁜 영향을 주는 일도 우리 곁에 있어. 두 가지를 가리는 일은 쉽지 않지. 우리가 좋은 영향을 주는 사람이 되려고 한다면, 시간이 흐르고 서로 배려하고 이해하는 사회가 돼 있을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