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의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부피가 같을 경우 질량이 클수록 밀도가 크다.


부피

[어린이조선일보] [쏙쏙 과학 개념] 부피당 질량을 나타내는 값 '밀도'

마트에 가면 같은 제품의 우유인데 크기가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우유갑의 겉을 보면 크기 별로 200㎖, 500㎖, 1000㎖라고 쓰여 있다. ㎖는 부피를 나타내는 단위다. 이 중 부피가 가장 작은 우유는 200㎖이다. 우유와 같은 액체뿐만 아니라, 쇠 구슬 같은 고체도 부피를 측정할 수 있다. 물이 들어있는 눈금실린더에 쇠구슬을 넣으면, 넣기 전보다 물의 높이가 높아진다. 이때 늘어난 물의 부피가 바로 쇠구슬의 부피다.

밀도

철과 나무로 똑같은 크기의 정육면체를 만들면, 철과 나무의 부피는 같다. 하지만 이것을 저울에 달아 보면 철이 나무보다 훨씬 무겁다. 이처럼 단위 부피에 대한 질량의 크기를 밀도라고 한다. 부피는 같더라도 철은 무거우므로 밀도가 크고, 나무는 가벼우므로 밀도가 작다. 따라서 물에 넣었을 때 물보다 밀도가 큰 철은 가라앉고, 물보다 밀도가 작은 나무는 뜬다.

[어린이조선일보] [쏙쏙 과학 개념] 부피당 질량을 나타내는 값 '밀도'

물이 위에서부터 어는 까닭

겨울이 되면 강이나 호수의 물이 위쪽부터 언다. 그 이유는 얼음의 밀도가 물보다 작기 때문이다. 물의 온도가 내려가서 얼게 되면 질량은 변하지 않고 부피가 늘어난다. 즉, 밀도가 작아지는 것이다. 따라서 밀도가 작은 얼음이 밀도가 큰 물 위에 뜨기 때문에 물이 위에서부터 어는 것이다.

[개념쌤의1분 특강]

도의 단위는 kg/㎥, g/㎥, L/㎥ 등 이야. 단위만 봐도 밀도는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임을 알 수 있어. 이처럼 밀도나 속력 등의 개념을 익힐 때는 단위를 보면 그 값을 구하는 방법을 짐작할 수 있어.

아울북 제공 | 초등과학 개념사전(정지숙 외 글·추연규 외 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