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조선일보] [쏙쏙 과학 개념] 생물의 기본 단위 '세포'

세포의 발견

세포는 모든 생물이 가지는 생물의 기본 단위이다. 세포를 최초로 발견한 사람은 영국의 과학자 로버트 훅(Robert Hooke·1635~1703년)이다. 훅은 현미경을 직접 만들어 코르크를 관찰하다가 식물 세포를 처음 발견하고 세포라는 이름을 붙였다.

세포의 생김새

[어린이조선일보] [쏙쏙 과학 개념] 생물의 기본 단위 '세포'

세포는 한 생물 안에서도 모양과 크기가 다르다. 사람의 경우 피부를 이루는 세포, 혈액을 이루는 세포, 근육을 이루는 세포가 모두 다르지만, 기본 구조와 그 안에 들어 있는 물질은 같다. 세포의 핵은 생물의 모든 정보를 담고 있다. 생명 활동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포막은 세포를 둘러싸고 세포를 보호하며 미토콘드리아에서는 에너지를 만든다. 세포는 집을 이루는 벽돌처럼 생물의 몸을 구성하고 있다. 식물과 동물은 모두 세포로 이뤄져 있지만, 그 모양은 차이가 있다.

세포에서 관찰되는 커다란 주머니, 액포

액포는 대부분의 식물 세포에서 발견되는 커다란 막으로 싸인 주머니로, 주로 성숙한 식물 세포에 잘 발달해 있다. 대부분 물로 채워져 있고 당, 무기 염류, 노폐물 등이 들어 있다. 식물 세포에서 대부분의 부피를 차지한다. 액포는 식물 세포뿐 아니라 동물세포에서도 발견된다.

[개념쌤의 1분 특강]

아메바나 짚신벌레는 하나의 세포로, 사람은 약 100조 이상의 세포로 이뤄져 있어. 세포 여러 개가 모여서 근육과 같은 조직이 되는 거야. 세포 하나의 크기는 너무 작아서 맨눈으로는 볼 수 없고 현미경으로 봐야 해.

아울북 제공 | 초등과학 개념사전(정지숙 외 글·추연규 외 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