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이 담긴 수조에 촛불을 세우고 비커로 덮으면 어떻게 될까? 또 양초의 수를 달리할 때, 양초의 수가 늘어날수록 비커 안의 수면 높이는 어떻게 달라질까?

<준비물>
양초 3개, 수조, 비커(혹은 유리병), 물감

<실험 과정>
1. 수조에 물을 적당히 붓고, 물감을 푼다.
2. 양초 1개에 불을 붙여 수조에 세운다.
3. 양초 위에 유리병을 덮은 뒤 변화를 관찰한다.
4. 양초의 수를 2개, 3개로 늘렸을 때의 변화를 살펴본다.

◈결과
조금 뒤 촛불이 꺼지면서 비커 안의 수면은 높아진다. 또한 초의 수가 많아질수록 수면의 높이는 더 올라가며, 촛불은 빨리 꺼진다.





◈왜 그럴까
초가 '연소'하는 것은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해 물과 이산화탄소를 만드는 것으로, 이 때 양초 주위의 공기는 산소를 공급해준다.
이 실험에서 촛불이 꺼진 것은 촛불이 연소하며 비커 안에 들어 있는 공기 중의 산소를 다 태워버렸기 때문이다. 촛불이 꺼진 뒤 비커 안의 수면이 높아진 까닭은 촛불이 연소하는 동안 타버린 산소의 빈 자리만큼 물이 빨려 올라갔기 때문이다. 즉, 초가 연소할 때 소모된 산소의 부피를 채우기 위해 물이 올라오게 된다.
연소로 생성된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아 수면이 높아지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보통의 실험에서 이산화탄소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다.

/국립중앙과학관(www.science.go.k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