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저학년 이상
6월 18일, 캐나다 북동부에 자리한 해안에서 발견된 검은색 빙산. 화산이 폭발해 생긴 검은 먼지나 바람을 타고 날아온 매연이 빙산을 덮어 까맣게 변했을 수 있다. 또는 수천km 땅 아래에 오래 있던 빙산이 땅 위로 올라와 햇빛을 받으면, 우리 눈에는 빛이 반사돼 검은색으로 보일 수 있다. /Hallur Antoniussen 페이스북
6월 18일, 캐나다 북동부에 자리한 해안에서 발견된 검은색 빙산. 화산이 폭발해 생긴 검은 먼지나 바람을 타고 날아온 매연이 빙산을 덮어 까맣게 변했을 수 있다. 또는 수천km 땅 아래에 오래 있던 빙산이 땅 위로 올라와 햇빛을 받으면, 우리 눈에는 빛이 반사돼 검은색으로 보일 수 있다. /Hallur Antoniussen 페이스북

새하얀 빙산 사이에 새카만 무언가가 우뚝 서 있어요. 마치 다이아몬드 모양을 가진 돌 같죠. 그런데 놀랍게도 이는 검은색 빙산이었어요. 6월 18일, 캐나다 뉴펀들랜드 메모리얼대 연구팀은 캐나다 북동부에 자리한 해안에서 검은색 빙산을 발견했어요. 빙산은 빙하에서 떨어져 나와 호수나 바다에 흘러 둥둥 떠다니는 얼음덩어리예요. 빙하는 보통 수천 년간 눈이 녹았다 쌓이고를 반복하면서 생겨나고요. 새하얀 눈이 꽁꽁 얼어 생긴 빙하에서 떨어져 나온 빙산은 왜 까맣게 됐을까요?

우선, 연구팀은 빙하 주변에서 화산이 폭발했을 것으로 보고 있어요. 캐나다 동부에만 150개가 넘는 화산이 있거든요. 보통 화산이 폭발하면 시커먼 먼지가 공기 중에 둥둥 떠다니게 되는데요. 이 먼지들이 빙하에 쌓였다는 거죠. 게다가 자동차에서 뿜어져 나오는 매연(煤煙·연료가 탈 때 나오는 검은 연기)이나 공장에서 나오는 시커먼 가스가 바람을 타고 날아왔을 수도 있죠. 마치 우리가 하얀 옷을 입고 매연이 많이 날리는 곳에 가면, 옷이 더러워지는 것과 같아요. 또 빙하가 수천km 땅 아래에 오래 묵혀있던 얼음일 수 있어요. 보통 땅 아래에 있던 얼음은 공기 중에 떠도는 산소 덩어리와 닿지 않아요. 이런 얼음이 땅 위로 올라와 햇빛을 받게 되면 빛이 여기저기 반사돼요. 그럼 우리 눈에는 매우 까맣게 보일 수 있답니다.

빙하(氷河): 오랜 시간 동안 눈이 내렸다 녹기를 반복하며 거대한 얼음덩어리로 변한 것. 주로 북극과 남극에 존재한다.

빙산(氷山): 빙하에서 떨어져 나와 호수나 바다에 떠다니는 얼음덩어리.

  • 캐나다 북동부에 자리한 해안에서 발견된 빙하는 왜 검은색이 됐을까요? 캐나다 연구팀이 주장하는 근거를 찾아 적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