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조선일보] [교과서 문해력 교실] ‘주황 똥’ ‘초록 똥’ ‘빨강 똥’도 있다고?](https://www.chosun.com/resizer/v2/5GB6SPCW72VWQVDBJNLZLYHWFE.gif?auth=0787d29bdab9553b3b56ba11381c78fdd0db517190781df15b86dac5f69c364f&width=616)
초등 3학년 1학기 과학
3. 동물의 한살이
사람은 보통 누런색이나 갈색 똥을 누어요. 우리 몸속에서 소화를 돕는 노란 쓸개즙이 음식과 섞이기 때문이에요.
또한 똥에는 음식 찌꺼기와 함께 갈색인 세균 덩어리가 섞여 있어요. 그래서 똥도 갈색이죠.
그런데 화려한 색 똥을 누는 동물이 있어요. 달팽이는 당근을 먹으면 주황색, 초록 잎을 먹으면 초록색 똥을 누어요. 크릴새우를 많이 먹는 대왕고래는 붉은색 똥을 누어요. 크릴새우의 껍질이 주황색이어서 그렇대요.
또한 똥에는 음식 찌꺼기와 함께 갈색인 세균 덩어리가 섞여 있어요. 그래서 똥도 갈색이죠.
그런데 화려한 색 똥을 누는 동물이 있어요. 달팽이는 당근을 먹으면 주황색, 초록 잎을 먹으면 초록색 똥을 누어요. 크릴새우를 많이 먹는 대왕고래는 붉은색 똥을 누어요. 크릴새우의 껍질이 주황색이어서 그렇대요.
● 바쁜 초등학생을 위한 빠른 독해 1
영재사랑 교육연구소, 호사라 글|이지스에듀(이지스퍼블리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