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의 유래는?
우리는 수학에서 '2 더하기 3', 또는 '6 빼기 5' 등 계산을 배웁니다. 식으로는 '2+3', '6―5'로 나타내지요. '+'나 '―' 기호처럼 우리가 평소에 자주 쓰는 사칙연산 기호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 기호는 얼핏 보면 가로로 선을 찍 그은 것으로 보입니다. 이 기호는 뱃사람이 나무통에 든 물을 쓸 때 어디까지 썼는지 표시한 선에서 유래했대요. 물이 줄어들면 새로 물을 부어야겠죠? 물을 부으면 원래 있던 가로선 표시에 세로 선을 넣어 지웠습니다. 이것이 '+'의 유래라고 합니다. 뱃사람에게 물은 아주 귀중했어요. 그래서 물이 얼마나 남았는지 항상 주의를 기울였나 봅니다.
'×'와 '÷'의 유래는?
'×' 기호는 17세기 영국의 수학자 오트레드가 기독교의 십자가를 비스듬히 기울여 곱셈 기호로 쓴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그러나 로마자 알파벳으로 쓰이는 X(엑스)와 비슷하다고 해서 '·'으로 나타내는 나라도 있어요. 우리가 쓰는 컴퓨터 키보드와 엑셀 프로그램에서는 '*' 기호가 곱하기를 뜻합니다.
'÷' 기호는 17세기에 스위스의 수학자 '란'이 처음 사용했대요. 기호 가운데 가로 선은 분수의 가로선, 위의 점은 분자를 뜻하고 아래 점은 분모를 뜻한다고 합니다. 어떤 나라에서는 '/'나 ':'를 써요.
★앞에서 소개한 '+' '―' '×' '÷' 기호의 유래는 일부일 뿐입니다. 각 기호의 유래에는 그 밖에도 여러 가지 설이 있습니다. 직접 찾아보면 또 다른 재미가 있지 않을까요?
바이킹 '초등학생을 위한 수학실험 365 1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