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학년 1학기 문제

오른쪽 시계는 시각을 로마 숫자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로마 숫자'란 고대 로마 시대에 사용하던 수를 말합니다. 아래 표와 같이 영어의 알파벳에 해당하는 로마 숫자가 우리가 지금 쓰는 아라비아 숫자를 나타냅니다. 수를 표기하는 방법은 작은 기본 숫자가 큰 기본 숫자의 오른쪽에 있을 때는 ��=Ⅹ+Ⅰ=10+1=11과 같이 나타내고 큰 기본 숫자가 작은 기본 숫자의 오른쪽에 있을 때는 Ⅸ=Ⅹ-Ⅰ=10-1=9와 같이 나타냅니다.

(1) 로마 숫자 MCMXCIX는 얼마를 나타내는지 구해보세요.

(2) 여러분이 태어난 연도를 로마 숫자로 표기해보세요.

4학년 1학기 문제

주사위에서 마주 보는 두 면의 눈의 합은 7입니다. 다음과 같은 〈가〉, 〈나〉, 〈다〉 3개의 서로 다른 길에 주사위를 굴려서 주사위의 눈으로 수 만들기를 하려고 합니다. 다음 물음에 답하세요.

(1) 주사위를 굴려서 색칠된 면에 닿는 눈의 수를 구하려고 합니다. 각각의 색에 해당하는 수는 무엇일지 구하고, 과정을 설명해보세요.

(2) 위 (1)에서 구한 6개의 숫자를 한 번씩만 사용하여 가장 큰 수를 만들고, 가장 큰 수의 만의 자리 숫자가 나타내는 수를 1000배 한 수는 얼마인지 풀이과정과 답을 구하세요.

지난 주 문제 예시답안

5학년 1학기 답안
오늘 딴 구슬의 개수는 79-25=54개다. 가 상자에 들어갈 구슬 수를 ★, 나 상자에 들어갈 구슬 수를 ♠라고 한다면, ★+♠=54가 되어야 하고 ★은 ♠의 약수이므로 ★은 ♠보다 작거나 같다. 이런 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찾을 수 있다.

1+53=54 (○), 2+52=54 (○), 3+51=54 (○), 4+50=54 (×), 5+49=54 (×), …, 27+27=54 (○). 이때 1, 2, 3, 6, …은 모두 54의 약수다. 54의 약수는 1, 2, 3, 6, 9, 18, 27, 54이므로 (가 상자, 나 상자)의 순서로 쓸 때 (1, 53), (2, 52), (3, 51), (6, 48), (9, 45), (18, 36), (27, 27)로 나누어 담을 수 있다.

※이번 주 문제에 대한 예시답안은 다음 회에서 공개됩니다.

※자신이 푼 답안을 휴브레인 이메일(
dapshk@huebrain.com)로 보내주시면 매월 우수작을 선정해 소정의 상품을 드립니다. 이름₩학교₩연락처를 함께 적어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