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DEX AI반도체 핵심장비 ETF’(상장지수펀드)는 AI 반도체 산업 성장의 최대 수혜주로 손꼽히는 국내 반도체 장비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상품이다. 오른쪽 큰 사진은 삼성자산운용 사옥./삼성자산운용 제공

지난 21일 상장한 삼성자산운용의 ‘KODEX AI반도체 핵심장비 ETF’(상장지수펀드)는 AI 반도체 산업 성장의 최대 수혜주로 꼽히는 국내 반도체 장비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상품이다. ‘AI 반도체의 꽃’이라 불리는 HBM(고대역폭 메모리) 관련 장비주를 약 83%나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국내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ETF 가운데 최대 비중이다.

최근 챗GPT, 로봇 등 기술 혁신에 있어 ‘AI 도입’이 필수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AI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빠르게 연산할 수 있는 고성능·고효율의 ‘AI 반도체’ 중심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글, MS(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 또한 AI 서버 관련 투자를 빠르게 증가시키는 추세다.

AI 반도체는 높은 메모리 대역폭 구현이 가능한 HBM을 필요로 하며, 이는 AI 반도체 공정의 새로운 트렌드가 되고 있다. 그동안 장비 혁신을 통한 공정 미세화는 상당 부분 한계에 도달했다. 이제는 메모리를 더 얇게, 더 많이 수직으로 쌓아올리는 기술 등 첨단 패키징 및 후공정까지 광범위한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HBM 시장 규모 또한 2023년 현재 20억 달러 수준에서 2027년 51억 달러 수준까지 빠른 성장이 예상된다.

AI 반도체와 HBM의 성장은 필연적으로 소재, 부품, 장비의 수요를 창출하는데, 특히나 한국은 ‘반도체 장비’에 압도적인 강점을 갖고 있다. 반도체 장비는 신규 주문 사이클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소재, 부품 대비 시가총액이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시장을 주도하는 특징이 있다. 반도체 업계의 상황이 개선되는 시기에는 종합반도체보다 장비주가 강세를 보여 왔다. 또한 미국의 대중(對中) 규제로 장비 국산화 트렌드는 더욱 강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KODEX AI반도체 핵심장비 ETF’는 HBM 공정의 핵심인 AI 반도체 장비 업체의 장기적인 수혜를 기대할 수 있다. 이 상품은 전공정ㆍ후공정ㆍ패키징까지 AI 반도체 공정 전반을 아울러 혁신적인 기술력을 보유한 장비 기업을 우선적으로 편입했다.

주요 종목으로는 국내 대표적인 반도체 장비 기업인 ▲한미반도체(23.87%) ▲ISC(16.89%) ▲리노공업(12.83%) ▲대덕전자(9.38%) ▲이수페타시스(8.71%) ▲이오테크닉스(7.53%) ▲하나마이크론(7.07%) ▲HPSP(5.17%) ▲심텍(3.34%) ▲SFA반도체(1.97%) 등이 있다.(2023.11.23 기준).

김도형 삼성자산운용 ETF컨설팅본부장은 “향후 반도체 산업은 고성능과 고효율의 AI반도체 중심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HBM이 AI반도체 공정의 새로운 트렌드로서 필수 요소가 될 것”이라며 “KODEX AI반도체 핵심장비 ETF는 국내 기업이 압도적으로 강점을 갖고 있는 HBM 관련 반도체 장비 기업에 집중 투자함으로써 AI반도체 산업 성장에 효과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