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협정 문서 - 1953년 7월 27일 판문점에서 마크 웨인 클라크(오른쪽부터) 유엔군 사령관, 펑더화이(彭德懷) 중국인민지원군 총사령관, 김일성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이 서명한 영문 정전협정 문서.

미·북 정상회담이 6월 12일 10시(한국 시각) 싱가포르 카펠라 호텔에서 열리는 것으로 결정됐지만 우리 정부가 희망하는 '종전(終戰) 선언'을 위한 남·북·미 3자 정상회담은 개최 여부가 미지수다. 청와대는 일정을 고려했을 때 6월 12일 미·북 정상회담 다음 날인 13일 남·북·미 3자 회담을 여는 건 어려울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다만 미국이 3자 회담 개최를 급하게 통보할 경우에 대비해 문재인 대통령이 즉시 싱가포르로 갈 수 있는 준비는 계속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6일 "가장 중요한 것은 미·북 간 협의인데 아직 미국에서 3자 회담에 대한 통보를 받지 않았다"며 "이번에는 3자 회담까지 가기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과 북한이 비핵화 문제에 합의하고 난 다음에야 종전 선언 논의가 가능하기 때문에, 남·북·미 3자 회담은 6·12 이후 싱가포르가 아닌 다른 장소에서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청와대는 아직 6월 12일까지 시간이 남아 있기 때문에, 3자 회담이 성사될 경우를 대비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모든 준비는 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도 3자 회담에 신중한 모습이다. 미 국무부 헤더 나워트 대변인은 이날 문 대통령의 싱가포르 방문에 관한 질문에 "내가 아는 한 문재인 대통령이 싱가포르를 방문한다는 내용은 언급되지 않은 것 같다. 한국 정부에 물어보라"고 했다.

우리 정부는 싱가포르 3자 회담이 성사되지 않더라도, 미·북 회담 이후 대북(對北) 제재가 완화되는 상황에 대한 준비에 착수했다. 정부는 해당 부처와 부처 산하기관을 중심으로 북한에 도로·교통·전력 등을 지원하기 위한 '대북사업 전담팀'을 가동하기 시작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7일 하루 연가를 내고 지방에서 휴식을 취할 예정이라고 청와대는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