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호선 전 정의당 대표는 18일 이른바 '송민순 회고록' 논란과 관련, "저의 (2007년) 브리핑은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설명과 일치한다"고 밝혔다. 노무현 정부 당시 청와대 대변인이었던 천 전 대표는 ‘송민순 회고록’에서 문제가 되는 2007년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기권 방침을 공식 발표했었다.
천 전 대표는 "2007년 11월16일 회의에서 기권이 결정됐지만 송민순 전 외교부장관의 지속적인 결의안 찬성 주장으로 21일에 최종 발표된 것"이라며 "결정에 대해 주무장관이 반발하니 (노무현 전 대통령이) 표결 전까지 시간을 가지고 의견을 들어주고 설득한 것"이라고 했다.
이어 "20일 저녁 대통령이 백종천 안보정책실장과 송민순 외교통상부장관을 불러 송 장관을 최종 설득한 것"이라며 거듭 16일 회의에서 기권이 결정됐다는 점을 강조했다. 천 전 대표는 "새누리당의 주장을 이해할 수 없다"며 "이제는 국민을 기만하는 억지 왜곡을 중단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천 전 대표는 2007년 11월21일 브리핑에서 "20일 저녁 늦게 송민순 외교통상부장관과 백종천 청와대 안보정책실장이 유엔대북결의안 문제에 대해 보고했고, 이에 대해 노무현 대통령이 기권 방침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노 전 대통령 재가 시점이 20일이었음을 시사하고, 송 전 장관 회고록 주장과 일치해 논란이 된 바 있다.
기권 입장 최종 결정 시점이 11월 16일이었다면, 이후 북한에 그 결과를 ‘사후 통보’했다는 문 전 대표 측 주장이 맞을 공산이 크다. 그러나 노 전 대통령 최종 재가 시점이 11월 20일이었다면 북한에 ‘사전 문의’를 했다는 송 전 장관 주장이 사실일 가능성이 높아진다. 천 전 대표는 이러한 상황에서 문 전 대표의 손을 들어준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