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숙 피살사건은 70년대 벽두에 일어났다. 개통된지 얼마 안되는
강변도로, 코로나 승용차, 26세의 요염한 여인, 권총, 오빠, 수많은
권력자의 이름과 권력의 지저분한 행태, 호텔 등이 이 사건에 등장한
다. 거기다 철늦은 함박눈까지 가세한다. 그런 점에서 이사건은 사건
자체로도 흥미만점이지만 그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그때는 산업화가 본격적 고동을 울릴 때였으며 박정희정권의 독재가
뿌리내리던 시기였다.


사진설명 :
서울 마포구 합정동 강변로에서 발견된 코로나 승용차와 정인숙(원내). 정의 수첩에선 그와 접촉했던 26명의 당시 고위층 인사 명단이 나왔다.

내가 당혹속에 이 사건과 마주친 것은 1970년 3월17일 한밤중. '올

챙이(견습기자)'에서 '개구리(정식기자)'로 넘어가 첫 야근을 하던 날

이었다. 통금이 있던 당시 각사 기자들은 서울을 동-서로 나눠 야근을

돌았다. 서쪽을 담당한 내가 예정된 코스를 돌아 신촌 세브란스 병원

응급실에 도착한 것은 밤 11시40분쯤. 그때 마침 당시 성락희 마포서

형사과장이 황급히 응급실로 들어서고 있었다. 응급실 침대엔 한 청년

이 오른쪽 허벅지에 피를 흘리며 링거주사를 맞고 있었다. 횡설수설하

는 그를 상대로 간단한 사건개요와 피살된 정양 집전화번호를 확인하

고는 먼저와 있던 상대지 기자와 함께 뛰쳐 나왔다. 그 청년이 나중에

경찰조사에서 범인으로 밝혀진 정인숙 오빠 정종욱씨였다.

지방으로 내려가는 20판 사회면 톱에는 '한강 강변로에 카빈 살인'
이라는 시커먼 제목이 뽑혔다. 강도를 당했다는 정씨가 "무슨 총인지
정확히 기억이 나지 않지만 카빈 같았다"고 했기때문이다. 나중에 권
총으로 정정됐다.마침 전날밤 신세계 앞 금은방 황금당에서 살인사건
이 발생해 전 경찰기자들이 그곳에 야근을 하고 있었다. 그곳에 있던
선배기자들은 시경캡의 지휘로 경찰서로, 사건현장으로 뛰었다. 죽은
정양의 사진구하기가 내 임무였다. 서교동 정양집으로 갔다. 건넌방의
책상등을 뒤져 사진을 찾았으나 없었다. 그날 안방 아랫목에는 가갓난
아기가 자고 있었고 방 윗목에는 정양이 갖고 다녔던 네모난 빨간 슈
트케이스가 있었다. 그속에 정양의 사진이 있을 것같아 한번 열어보겠
다고 사정했으나 완강히 거절했다. 결국 포기하긴 했지만, 그 속의 내
용물이 이사건을 결정적으로 증폭시키고 의혹을 불러 일으킬 줄 누가
알았겠는가. 그속에는 정양이 알던 사회저명인사 26명의 명단과 전화
번호가 들어 있었던 것이다. 또 안방에 자고 있던 아기가 두고 두고
뉴스의 추적대상이었던 당시 세살난 정승일(나중에 성일로 개명)군일
줄은 꿈에도 몰랐다. 결국 사진은 동사무소에서 복사했다. 회사에서
는 다시 사고 차량인 '서울 자 2-262호' 코로나 승용차 사진을 찍으라
는 독촉이었다. 노고산 파출소에 설치된 수사본부에 나와 있던 각사
기자들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던 중 함박눈이 내린 파출소 주변을 왔
다갔다 하다가 코로나 승용차안에 묘령의 여인이 앉아 있는 것을 발견
했다. 뒷문을 열자 그 여인은 앞으로 고꾸라졌다. 정인숙이었다. 초록
색 원피스에 스카프까지 두르고 있었다. 경찰이 살아있는 사람처럼 위
장해 앉은 자세로 세워 놓았던 것이다. 함박눈에 번호판이 가려져 있
어 사고차량 발견이 늦은 것이었다. 수많은 의혹과 궁금증 그리고 흥
미를 불러 일으켰던 정인숙양 사건의 서막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이
사건은 역사의 그늘에 핀 한 떨기 '악의 꽃'이었다.

(도준호 조선일보 논설위원)